경제관련 블로그

경제, 주식, 물가, 시세, 부동산

  • 2025. 3. 26.

    by. 경제본능

    광고

    목차

      “물가 좀 내렸다고 해서 살림살이 나아졌나요?”
      미국 기준이긴 하지만, 한국 가계도 물가에 민감하게 반응하죠.
      이번에 발표된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완만해졌지만, 코로나 이전보다 물가는 여전히 23% 이상 비싼 상태입니다.
      그럼 지금 미국에서는 어떤 품목이 가장 많이 올랐을까요?
      이 글에서 쉽게 풀어드릴게요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1. 2025년 2월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?

      • 2025년 2월 기준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.8%
      • 이는 2022년 여름의 9.1%에 비하면 많이 둔화된 수치
      • 하지만 연준(Fed)의 목표치인 2%보다는 여전히 높음
      •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3.1%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

      ☑️ 중요한 점:
      물가 상승률이 낮아졌다는 건 ‘가격이 내려간 것’이 아니라
      ‘가격이 전보다 덜 오르고 있다’는 의미예요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2. 2020년 이후 물가 얼마나 올랐나?

      • 미국 통계청 분석에 따르면
      • → 코로나 직전인 2020년 2월 대비, 현재 물가는 평균 23.3% 상승
      • 즉, 1,000달러로 살 수 있던 물건을 지금은 약 1,233달러 줘야 동일하게 살 수 있음
      • 달걀, 보험료, 고기 가격 등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이 올랐어요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3. 가장 많이 오른 품목 TOP 5 (2024년 2월 ~ 2025년 2월 기준)

      품목 상승률
      달걀 58.8%
      비디오 디스크 및 기타 미디어 20.8%
      스포츠 경기 입장권 12.0%
      자동차 보험료 11.1%
      대학 교재 10.8%

      달걀은 공급 불안과 조류독감 등 여파로 꾸준히 오르는 품목입니다.
      스포츠 관람, 외식, 콘텐츠 구독료도 꾸준히 상승 중입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4. 최근 한 달 사이 가장 많이 오른 품목 (2025년 1월 ~ 2월 기준)

      품목 상승률
      달걀 10.4%
      스포츠 경기 입장권 7.2%
      피클, 올리브, 절임류 6.3%
      남성 정장 및 외투 5.5%
      세무 서비스(세금 신고 등) 3.3%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5. 왜 이렇게 물가가 높을까?

      • 인플레이션 기여 요인 중 가장 큰 건 ‘집값’ (거주비용) → 전체 인플레이션의 55%
      • 그 외 자동차 보험료(11%), 음식료(13%) 등도 주요 원인
      • ‘서비스 가격’은 한번 오르면 쉽게 떨어지지 않음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6. 코로나 이후 가장 많이 오른 품목 TOP 5 (2020년 2월 ~ 2025년 2월)

      품목 상승률
      달걀 132.9%
      냉동주스 61.3%
      마가린 55.9%
      자동차 보험료 55.5%
      자동차 수리비 52.4%

      달걀 하나가 무려 2배 넘게 비싸졌어요.
      식료품 중에서도 가공도가 낮은 것일수록 상승률이 높았습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7. 반대로 가격이 떨어진 품목 TOP 5

      품목 하락률
      스마트폰 -58.7%
      전화기 및 계산기 -49.2%
      TV -27.9%
      컴퓨터 주변기기 -9.9%
      건강보험료 -16.4%

      전자제품은 공급망 회복과 기술 경쟁으로 가격이 안정됐습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8. 연준(Fed)은 지금 무슨 생각 중?

      • 2024년엔 세 차례 연속 금리 인하
      • 2025년엔 관세 정책, 물가 불확실성 때문에 신중 모드
      •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 있음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9. 소비자에게 주는 교훈

      • 물가 상승률은 낮아졌지만 여전히 ‘비싼 세상’
      • 대출, 신용카드 이자는 여전히 높음
      • 이럴 때일수록 똑똑한 소비 전략이 필요

      ☑️ 소비자 팁

      • 비싼 식재료는 유사 재료로 대체하거나 가격 비교 앱 활용
      • 고금리 통장, 적금으로 이자 챙기기
      • 불필요한 구독은 정리, 현금 흐름 확보
      • 고금리 카드 사용 줄이고 무이자 할부 활용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결론

      “물가가 덜 오르고 있다고 해서 안 오른 건 아니다”
      코로나 이전보다 20~30% 비싸진 세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
      최대한 체계적인 소비 전략으로 대응하는 것뿐입니다.
      지금 당장은 작아 보여도, 꾸준한 비교와 선택이 결국 가장 큰 힘이 됩니다.